공지사항

**모집종료** 2021년 보호종료아동 주거지원 통합서비스 사업 대상자 모집(전남지역)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전남아동복지협회

첨부파일

본문

​보호종료아동 주거지원 통합서비스 주거지원 서비스는 22년도부터 자립지원 통합서비스로 변경될 예정이며,

자세한 사업지침 등이 나오게 되면 다시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(22.01.06. 전남자립지원전담기관)



<2021년 보호종료아동 주거지원 통합서비스>

 

전남아동자립지원단은 전남지역 내 보호종료아동의 성공적인 자립실현을 위한 안정적 주거환경조성을 위해 주거지원 통합서비스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이에 2021년 보호종료아동 주거지원 통합서비스 사업 대상자를 아래와 같이 모집하고자 하오니, 필요한 청년(아동)은 신청 부탁드립니다.

  

. 신청자격

(1) 아동양육시설, 공동생활가정, 가정위탁 보호종료 5년 이내 아동 중 다음

사항을 충족하는 경우

- 전남지역 LH 매입·전세임대주택에 거주 중인 자 또는

(신청일 기준 계약완료 후 2달 이내 거주예정인 자 포함)

- 전남지역 일반주택월세주택에 거주 중인 자

(2) (1)의 사항을 충족하면서 재계약을 포함하여 계약 잔여기간이 최소 1년 이상인 자

(3) 기초수급자, 구직자, 학생 등 신청일 기준 소득이 없는 자 우선선발

 

. 신청기간

   2021.01.01~2021.12.31 상시접수

 

. 모집인원 : 00(이용 대기자 포함)

  

. 전형방법

(1) 전형절차 : 1차 서류전형

               2차 면접전형(사례관리사 면접 및 전남아동자립지원단장 면접)

(2) 서류전형 발표(예정) : 개인별 유선·문자 안내

(3) 면접일정 :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하여 추후 개별 안내 예정

 

. 신청방법 : 필수 제출서류 중 (1)~(3) 신청자 본인 자필 또는 워드로 작성

후 필수제출서류 취합 후 (파일명 : 시설명-이름.pdf)로 첨부하여

개인 또는 기관별로 이메일접수 (jnjarip@daum.net)

코로나-19의 확산 예방을 위하여 메일접수만 인정


. 필수 제출 서류

(1) 주거지원 통합서비스 신청서 붙임 2. 양식

(2) 자기소개서 붙임 3. 양식

(3) 개인정보 수집·이용·제공 동의서 붙임 4. 양식

(4) 보호종료 확인서 붙임5. 양식

(5) 신분증(주민등록증, 여권, 자동차운전면허증, 장애인등록증 중 택일) 사본

(6) 사이버강의 이수증

서민금융진흥원 금융교육포털(https://edu.kinfa.or.kr/) 온라인교육 > 기관별 맞춤형 교육 >

[아동권리보장원]자립교육 강의 수강 후(필수과목) 이수증 출력하여 제출

(7) 임대차 계약서 사본

(8) 주민등록본 사본(2021년 06월 25일 이후 신청자)  


. 선택 제출 서류

(1) 보호종료아동 추천서(관계기관 추천서) 붙임 6. 양식

관계기관 : 시설장, 가정위탁지원센터장, 아동복지협회장, 그룹홉협의회장, 시군구청장 등. 선정시 가점 부여


. 기 타

(1) 이용 가능 모집 인원 마감의 경우, 선정심사에서 높은 점수 순으로 대기인원

으로 지정하여 차후 결원 발생시 순차적으로 선발

(2) 거짓 또는 기타 부정한 방법 등으로 선정된 경우 계약 해지 가능

 

. 문 의 : 전남아동자립지원단 주거지원 통합서비스 사례관리사 박자현

(Tel. 061-742-4908, 010-8740-4908)



붙 임 1. 주거지원 통합서비스 사업 안내문

      2. 주거지원 통합서비스 신청서

      3. 자기소개서

      4. 개인정보 수집·이용·제공 동의서

      5. 보호종료 확인서

      6. 보호종료아동 추천서(관계기관 추천서). .   


상호명 : 사단법인 전남아동복지협회 사업자등록번호 : 192-82-00192 / 상호명 : 전남아동자립지원전담기관 사업자등록번호 : 303-82-78494
대표자 : 문성윤 주소 : 전남 순천시 율산길 37-13 2층 메일 : jn-adong@hanmail.net
전화번호 : 061-742-4908 팩스 : 061-754-4908

Copyrightⓒ 2019 사단법인 전남아동복지협회 All rights reserved.